겨울철 단단한 스쿼시 볼을 달구는게 쉽지는 않다. 조금이라도 수고를 덜고자 자작하여 만들어 본다.
고장난 손 난로 부품, 고장난 USB 배터리가 있으면 가능하다.
참고로 스쿼시 공인구 볼의 온도는 45도 규정한다. 그 이상 올라가면 공인구 아닌걸로 ...
실제 선수가 가장 열씨미 볼을 칠 때의 온도가 45이고 ... 공인구 시험 테스트에서도 45로 규정 한다.
아래는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이다. 비슷하게 만들어 볼까 하다가 ..자작의 의미는 아닌것 같아 ...
먹다 남은 맥주캔 1개와 커피 캔 1개로 외부 케이스 제작 ..ㅋㅋ
스위치를 3초가 누르면 히팅/멈춤으로 간단하다. 1단 40도, 2단 45도, 3단 50도 이지만 ...간접적으로 히팅이 되므로
3단으로 하여도 대략 41 정도까지는 잘 되는 것 같다.
너무 온도가 높으면 볼의 성질에 변화가 생길 것 같아 ..적당한 간격을 주어 간접 히팅하는 것으로 ~~
국내에서는 판매가 되지 않은것 같아 아쉽게 벤치 마킹을 하지 못해 아쉽지만 ...
아래는 완성된 스쿼시 볼 워머 ~
It is not easy to heat up a hard squash ball in winter. To save even a little effort, I make it myself.
Broken hand warmer parts, broken USB battery is possible.
To add to that, the temperature of a squash ball is 45 degrees. If it goes up above that, it's not an official ball...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actual player hits the most hot-seeded ball is 45 degrees and ... the official ball test is also defined as 45 degrees.
Below are the products on the market. I was thinking about making them similar... but I don't think it means anything...
Making an outer case with 1 leftover beer-can and 1 coffee-can...
It's simple to heat/stop when you press the switched in during 3 seconds. It's 40 degrees for 1st stage, 45 degrees for 2nd stage, 50 degrees for 3rd stage, but ... it's indirectly heated
It seems to be good up to about 41 even in three stages.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I think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properties of the ball... By indirect heating with appropriate intervals~~
thanks~